일반적인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내용
전략기획
- 경쟁사 조사 및 시장 조사: 경쟁사의 서비스 및 제품 분석, 시장 트렌드 파악.
- 고객 조사: 타겟 고객의 요구사항 및 피드백 수집.
문제 인식 및 목표 수립
- 문제 인식: 현재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파악.
- 목표 수립: 서비스 개선 및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설정.
환경 분석
- 시장 분석: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경쟁 상황 파악.
- 사용자 분석: 사용자 행동, 니즈, 트렌드 분석.
- 법안 분석: 관련 법률 및 규제 사항 검토.
정보 구조도 (IA) 설계 및 스케줄링
- 정보 구조도 (IA) 설계: 서비스 내 정보의 체계적인 구조 설계.
- 스케줄링: 프로젝트 진행 일정 및 마일스톤 설정.
요구사항 정의 및 정책 결정
-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서비스 구현을 위한 요구사항 상세화.
- 정책 결정: 요구사항에 기반한 서비스 정책 수립.
스토리보드 작성
- 프론트 페이지와 백오피스 스토리보드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관리자 페이지 설계.
- 정책 결정사항, 서비스 프로세스, 와이어프레임, 세부 정책 문서화.
커뮤니케이션
- 유관부서와의 협의: 개발팀, 디자인팀, 마케팅팀 등과 협업.
- 매뉴얼 제작: 서비스 사용 방법 및 정책에 대한 문서 작성.
QA(테스트) 진행 및 론칭
- QA 진행: 서비스의 품질 검증 및 오류 수정.
- 앱 론칭 및 업데이트: 서비스 출시 및 버전 업데이트 관리.
서비스 분석
- 통계 지표 분석: 서비스 이용 통계 분석을 통한 성과 평가.
- 그로스 해킹: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험 및 검증 테스트 진행.
PO (Product Owner)
주요 업무
- 전략 기획: 서비스의 방향성과 목표 설정, 병목 요소 제거.
- 우선순위 선정: 개발 요구사항의 우선순위 결정 및 관리.
역할
- 개발팀과의 협업: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
- 이해관계자 관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사업 방향에 맞게 관리.
PM (Project Manager)
주요 업무
- 문서 작성 및 관리: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문서 작성 및 관리.
- 일정 관리: 정해진 기한 내에 프로젝트 산출물이 나올 수 있도록 일정 관리.
역할
- 팀 커뮤니케이션: 개발자, 디자이너, 고객과의 소통.
- 프로젝트 리더: 전체 프로젝트 일정 및 진행 상황 관리.
워터폴 방식
- 요구사항 정의: 기획자가 모든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스토리보드 작성.
- 업무 진행: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기획에 따라 작업 진행.
- 변경 어려움: 기획 완료 후에는 요구사항 변경이 어려움.
목적형 조직
PO의 역할
- 우선순위 결정: 개발 우선순위 설정 및 리더와 개발팀 설득.
- 개발 주기 관리: 개발 주기를 한 달 단위로 설정하고 2주마다 고객 요구사항 검토.
- 애자일 방식 선호: 지속적인 개선 및 업데이트를 위한 애자일 방법론 사용.
차이점
PM
- 전체 일정 관리: 프로젝트 진행 일정과 마일스톤 관리.
- 프로젝트 리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진행을 리드.
PO
- 개발 우선순위 설정: 개발 우선순위 결정 및 타당성 검증.
- 커뮤니케이션 창구: 개발팀과 비즈니스 리더 간의 소통 담당.
서비스 기획자는 이러한 역할과 업무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고,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PM과 PO의 협업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며,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와 UI의 이해 및 서비스 기획 (0) | 2024.07.26 |
---|---|
개발자와 소통 또 소통 그리고 소통 (0) | 2024.07.24 |
기획: 문제 정의와 해결의 과정 (0) | 2024.07.22 |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에 맞는 옷을 입혀라 (0) | 2024.07.12 |
프로젝트 관리에 유연함을 넣다 (0) | 2024.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