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기획

바뀌길 바라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by 지식광부키우기 2024. 5. 2.

 

저번에 상사의 의도 파악이 어려운지 설명했다.

 

초점이 상사에 맞춰져 있어 실무자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보인다.

 

때문에 자칫하면 상사가 바뀌지 않는 것을 탓하며 불평불만으로 하루를 보내게 될 수 있다.

 

명심해라. 절대 절대 상사는 안 바뀐다. 상사를 바꿀 수 없으니 업무 파악을 잘하기 위해 부하 직원도 노력할 수밖에 없다.

 

업무 파악의 목적은 상사의 니즈 확인인데 이를 위해서 쓰는 방법으로 질문이 있다.

 

혼자서 고민을 아무리 해봤자 좋은 답이 나오긴 힘들다.

 

고민할 시간에 최대한 빠르게 상사에게 가서 질문을 하는 게 낫다. 질문을 통해 확인된 내용은 확언이 되고 이는 업무 속도에 도움이 된다.

 

다만 안타까운 사실은 질문이 가진 가치가 우리나라에서 많이 낮다는 것이다. 질문은 정말 좋은 방법이지만 통하지 않을 때가 많다.

 

대표적으로 상사가 질문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할 때다. 특히 이런 것도 모른다는 태도로 대응하거나 자기한테 묻지 말라는 식으로 말한다면 더 이상 상사에게 질문하지 않게 된다.

 

학창 시절에 질문을 억압받은 환경을 겪어봤다면 질문 자체가 껄끄러울 수 있다.

 

질문하기가 껄끄러워진다면 글로 써서 물어보는 방법도 있다. 말로만 하는 것보다 문서로 정리해서 가져가면 적어도 상사도 그걸 보고 대답을 해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방법을 썼는데 상사가 명확한 대답 없이 "알아서 해"라는 말을 했다면 배울 게 없다고 생각하고 회사를 떠날 생각을 하는 게 더 맞다.

 

내가 속한 팀에 대입해 보면 여러 가지 케이스가 있는데 떠날 생각을 하게 만드는 케이스가 더 많다.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질문하는 것을 반박이라 생각하는 경우

 

질문을 했는데 더 위 상사의 핑계(주로 대표)를 대며 모른다고 하는 경우

 

질문하는 것에 대해 상사가 업무 파악이 덜 된 경우(나이가 들어서 까먹는다고 표현함)

 

기분이 나빠서 모른다고 하는 경우

 

제대로 된 질문의 답을 받기 위해서는 한가하고 기분이 좋을 때밖에 없다.

 

회사 일을 하면서 한가하고 기분이 좋을 때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때는 극히 드물어 질문은 거의 못한다고 보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문을 해야 할 때 여기서 제일 효과적이었는 지 연구헀다.

 

말로 하거나 새 문서에 질문을 적는 것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다. (대부분의 케이스에서 막힘)

 

그러다 찾은 방법이 공유 받은 문서에 질문 사항을 정리하는 것이었다.

 

구글 스프레드를 협업 툴로 이용하였는데 지시 받은 시트의 영역을 따로 할애에서 질문을 적거나

 

카피본을 만들어 화면 정의서처럼 궁금한 곳에 질문 사항을 적었다.

 

상사의 자리에서 항상 열어져 있는 파일이었기에 따로 찾는 수고도 없앨 수 있었고 직관적으로 질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이 경우도 몇 가지 케이스를 커버했을 뿐이지 방향 자체를 긍정적으로 유도할 순 없었다.

 

결국 상대방의 게이트가 열려야 하는 것인데 계속 게이트가 막히는 것을 보면서

 

초반과 달리 어느 순간 말수가 적어진 나의 모습을 보면서

 

떠나야 할 때가 되었다고 느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