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기획

새로운 맥킨지 5단계 기법: 문제 정의

by 지식광부키우기 2024. 6. 18.

 

1단계: 문제 정의

 

문제 정의는 문제 해결의 근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의 뜻과 한계를 명확히 하고 '우리는 지금 무슨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한다.

 

비판적 사고와 전략적 사고

 

비판적 사고자들은 문제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정확히 파악하고 '어떻게 실시하는가'보다는 '어떤 문제를 왜 해결하는가'에 중점을 둔다. 전략적 사고는 수요측의 논리를 중시하며, 시행에 앞서 디테일한 부분보다는 전체적인 국면을 고려하고 수요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는 사고방식이다.

 

반면, 전문가 사고는 '어떤 문제를 왜 해결하는가'를 이미 안다고 간주하여 구체적인 실시 방법과 성과 도출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들은 과거의 경험과 전문성을 중시하며, '전문적인 사람이 전문적인 일을 한다'는 관점으로 문제를 본다. 따라서, 해결책을 실행에 옮기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춘다. 상황에 따라 특정 방식이 우위를 차지하기도 한다.

 

전략적 사고의 가치

 

전략적 사고는 신제품 양산 전에 핵심 문제를 제시하여 의사결정자가 고객의 비탄력적 수요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다시 정의하도록 인도한다. 이는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한 제품을 생산하느라 낭비할 손실을 막아준다. 또한, 경영진으로 하여금 제품 전략을 재탐색하여 제품 중심에서 수요 중심으로 회귀하도록 한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는 방법

 

문제를 정확히 정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직접적인 기준은 핵심 문제들을 완전히 해결하여 후속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이다. 문제 정의 시 상사나 수요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의 배경, 성공 기준, 문제의 경계, 제약 조건, 중요한 관계자와 동원 가능한 자원 여섯 가지 사항을 자세히 고려해 후속 문제를 대비해야 한다.

 

문제 정의 도구

 

문제 정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도구를 활용한다:

 

SMART 원칙

 

  • 구체적인(Specific): 문제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 측정 가능한(Measurable): 문제 해결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실현 가능한(Action-oriented):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다.
  • 관련이 있는(Relevant): 문제는 조직의 목표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
  • 기한이 있는(Time-bound): 문제 해결에는 명확한 기한이 있어야 한다.

 

세부 고려 사항

 

  1. 배경: 구체적인 배경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업계 동향과 업계에서의 상대적 위치 등을 조사한다.
  2. 성공 기준: 프로젝트의 성공 KPI를 명확히 한다. 재무와 비재무 기준을 포함하며, 반드시 책임자와 의견을 일치시킨다.
  3. 경계: 프로젝트에 어떤 것을 포함할지 혹은 포함하지 않을지 경계를 설정한다.
  4. 제약 조건: 솔루션의 제약 조건을 명확히 한다. 예를 들어, 합병 고려 여부 등을 포함한다.
  5. 책임자/관련자: RACI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책임자의 역할을 명확히 한다.
  6. 자원: 전문가 DB 등 동원 가능한 주요 자원을 파악한다.

RACI는 역할을 명확히 하는 도구로, Responsible(책임자), Accountable(최종 책임자), Consulted(의견 제공자), Informed(알림 대상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계와 도구를 활용하면 문제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