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7

상사도 고객이다 직장 내에서 일차적인 고객은 상사다. 기획자는 상사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부터 일을 시작한다. 아무리 훌륭한 기획이라도 상사가 문을 닫아버리면 끝이다.  오히려 상사의 니즈 파악이 진짜 일이다. 고민도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업무 수행 방식 2가지가 있다.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이다. Top-down은 위에서 아래로 과제를 내려주는 방식이고 Bottom-up은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현 회사에서 내가 수행한 방식은 대부분이 Top-down 방식이다.  Top-down 방식은 무엇을 해야 할지 감을 잡지 못하면 굉장히 어려운 방식이다.  상사의 의도를 끊임없이 분석해야 하는데 그 의도를 파악하는 일은 쉽지 않다. 상사의 의도를 파악하기 힘든 이유가 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2024. 5. 2.
누구냐 넌 - 상사의 입장에서 작성되는 보고서(기획물) 일을 할 때 가장 힘든 부분은 사람이다.  나를 바꾸는 건 방향과 해법을 노력하면 찾을 수 있지만 남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기획물을 작성할 때도 그렇다.  모든 기획물은 상사의 입장에서 작성되어야 한다.  중소기업같이 대표와 커뮤니케이션 라인이 짧은 경우에는 대표의 입장에서 작성해야 할 때도 있다.(대표의 입장 = 대표가 보기 좋게) 시스템을 설계하는 내 업무에 대입해 보면 기능의 위치, 편의성 등을 적용한 내용이 대표의 궁금증을 해결해 줄까? 이렇게 정리하면 대표 입장에서 원하는 바를 실행 가능해 보일까? 등의 질문을 던져야 한다.  사용자가 외부 고객이 아닌 내부 직원(특히 대표)일 경우에는 커스터마이징을 과도하게 적용할 때도 있다.  내가 다니는 직장은 대표의 입김이 굉장히 많이 작.. 2024. 5. 1.
시작 현 회사로 이직한지 1년 6개월이 지났다. 업무로는 데이터 분석과 기획을 병행하였다. 물가는 오르고 외부의 국내 공습이 큰 영향을 미치는 지금 회사 사정이 많이 어려워졌다. 떠나야 할 시점이 멀지 않은 가운데 현재까지 한 일에 대한 점검 및 결과를 블로그에 정리하고자 한다. 2024. 5. 1.
[EDA] 경기도 일자리 청년통장선발정보 Python 분석 5 안녕하세요. 인문계공돌이입니다. 경기도 일자리 청년통장 선발정보 데이터를 가지고 여러 가지 분석을 해보려고 하는데 오늘은 연속형 변수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데이터 사용할 데이터는 경기지역경제포털의 경기도 일자리 청년통장선발정보입니다. 설명은 위와 같습니다. 경기도 일자리 청년통장선발정보 EDA 연속형 변수 연속형 변수의 기술통계부터 살펴보았습니다. ERNM_AMOUNT에서 max값이 75%와 많이 차이나는 것으로 보아 아웃라이어일 확률이 높습니다. 다른 변수에서도 max값만 높은 것이 꽤 보입니다. 연속형변수와 종속변수인 SPORT_TRGET_AT만 따로 뽑아내 데이터셋을 만들었습니다. 변수마다 값들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큰 값을 가진 변수들만 뽑아 high에 할당했습니다. 해당 변수들만 로그 변환을 해.. 2021. 8. 16.